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년, 일본, 125분

감 독 : 나카에 이사무(中江功)
각 본 : 미즈하시 후미에(水橋文美江)
원 작 : 야마다 에이미(山田詠美)
 
출 연 : 야기라 유우야(柳楽優弥)
          사와지리 에리카(沢尻エリカ)
          나츠키 마리(夏木マリ)
          사에코(サエコ)  
          오오이즈미 요(大泉洋)
          키무라 료(木村了)
          하마다 가쿠(濱田岳)
          이와사 마유코(岩佐真悠子)

음 악 : 요시마타 료(吉俣良)

사랑은 언제나 지나가면 다시 다른 모습으로 나타 날태니..보다 지금의 이별에 의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라..그것이 이 실연의 아픔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될테다..라고 말해주는 청춘에 대한 한 장면을 보여주는 듯한 인생 가이드 같은 영화. 그러다 보니 잔잔한 이미지만이 남아 있을 뿐 그다지 눈에 띄는 영화적인 요소나 감동적인 면이나 재미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영화의 분위기를 가장 많이 잡아주는 그랜드마가 가지고 있는 스산한 인생의 면모만이 영화속의 잃어버린 사랑에 대한 애잔함을 숨기듯이 전달해 주는 맛이 있을 뿐이다. 오랜 동안 말 못하고 사진으로만 간직해온 긴 사랑에 대한 숙연함을 재외하면 영화는 그냥 그저 그렇다.

영화는 간단하다. 고등학교 시절을 함께 보낸 3명의 친구. 그 중 하나는 한 여자를 만나 인생의 최고를 맛 보지만, 곧 또 다른 친구에게 애인을 빼앗겨 버리곤 정신줄을 놓아 버린다. 이미 새로운 친구를 찾아서 떠난 여자는 다시 잡을 수 없다는 충고를 해 주는 또 다른 친구는 대학 대신 자동차와 가까운 곳에서 일을 하기 위해서 주유소에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우연히 대학교 기숙가 근처에서 만난 여자 친구에게 점점 빠져 들게 되지만 그녀와의 시간은 그녀가 자신의 전 남자친구에게 버림받은 이후의 잠깐 동안의 외유에 불과했다. 친구에게 해준 충고를 스스로에게 해 주게 된 이 청춘은 사랑에 대한 씁쓸함을 곱씹으면서 성장해 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여기까지의 주된 줄거리를 바탕으로 꽤 감성적인 음악을 깔아서 청춘의 사랑에 대해 관객에게 어필한다. 예술 영화로 얼굴을 선보인 야기야 유우야와 꽤 이쁜 얼굴에 일본인들에게 꽤 인기 있는 스타인 사와지리 에리카의 조합은 꽤 씁쓸한 만남과 이별의 공식처럼 어울린다. 마치 남자가 너무 사랑해도 여자는 떠날 수 밖에 없는 설정을 그대로 공식화 해 놓은 것 같은 캐스팅이다. 꽤 이해할만한 조합엔 실제 우리 현실에는 이러한 유형의 커플들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투박하고 착하기만 한 남자와 꽤 야시시한 여자,,그리고 그녀의 꽤 잘나갈 게 뻔한 남자 사이의 힘의 관계란 너무나 뻔한 결론을 예정해 두기 때문이다. 이 영화 역시도 그 법칙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못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이 40이 다 되어 가는 나에게 있어 이 영화 속의 풋풋함이란 실로 영화 속의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꽤 잔잔하지만 쓰리듯이 아프지 않고 꽤나 말랑말랑한 내용들이 츠츠 스러운 것은 영화 현실을 오가는 사랑의 법칙을 이미 너무나 많은 케이스 별로 경험하고 또 보아왔기 떄문일지도 모르겠다. 이해할 수 없는 사랑이라고 하지만 그건 내가 직접 경험을 했을 때의 경우이고 조금씩 한발을 벗어나서 보면 꽤 평이한 결론을 내재한 경우가 많다. 이 영화 속의 커플들 역시 사랑에 관한 내가 알고 있는 절대 법칙 "더 많이 사랑한 사람이 더 많이 상처 받는다"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랑은 그렇게 강한척 하지만 나약한 면을 동시에 탑재하고 있다. 그래서 그것이 다시 무기가 되어 자기 스스로에게 다가와 비수를 꼽는다. 주로 상대방보다 더 많이 사랑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흔히 느끼는 이 절망감은 청춘을 이겨내는 또 다른 성장통인지도 모른다.

사랑은 그저 달콤하지만은 않단다 아헤야..그렇게 니가 어른이 되는 것이지. 그렇게 가슴 한쪽이 딱딱해지는 것이 바로 어른이란다. 여러가지 생각으로
조금 씁쓸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9. 2. 19. 06:21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일본, 111분

감 독 : 니나가와 미카(蜷川実花)
각 본 : 타카다 유키(タナダユキ)
원 작 : 안노 모요코(安野モヨコ)
 
 
출 연 : 츠치야 안나(土屋アンナ)
           시이나 킷페이(椎名桔平)
           나리미야 히로키(成宮寛貴)
           키무라 요시노(木村佳乃)
           칸노 미호(菅野美穂)
           이치카와 사단지(市川左團次)
           이시바시 렌지(石橋蓮司)
           나츠키 마리(夏木マリ)  
           안도 마사노부(安藤政信)
           나가세 마사토시(永瀬正敏)
           미나미(美波)    
           야마모토 히로시(山本浩司)
           코이케 아야메(小池彩夢)
           엔도 켄이치(遠藤憲一)   
           안노 히데아키(庵野秀明)

음 악 : 시이나 링고(椎名林檎)



일본의 화류계에 등장하는 새로운 신예 사쿠란...
시기도 부정확하고 장소 역시도 확실한 것이 없은 어느 공간과 시간...작은 기방에 모인 여인네들의  화려하지만 쓸쓸한 일상을 아주 화려한 색채감으로 담아낸 독특한 영화. 고아와도 다름이 없는 가난한 시대의 어린 여자아이들은 이미 기생이 되어 있는 기녀들의 수발을 들면서 자신들도 기방 안의 화려한 여인네가 되기 위한 수련을 받으면서 기녀로서의 꿈을 키워 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최고로 잘나가는 기녀 쇼히의 수발을 들게 된 키요하는 낯선 남자들에게서 몸을 파는 쇼히의 모습에서 자신의 미래에 대한 우울한 직감을 갖게 된다. 빠져 나가고 싶지만 딱히 방법이 없는 키요하는 기방의 뜰 안에 놓인 벚꽃을 보면서 언젠가 거 벚꽃나무에 벚꽃이 열리면 이 곳을 떠날것이라는 기대만을 품고 세월을 이겨낸다.

자신이 모시던 쇼히가 높은 가문의 첩으로 시집을 가게 되는 날, 쇼히로 부터 언젠가 첫날밤을 치르고 나게 되면 써도 좋다면서 노리게 하나를 주고 가는데..그 순간 키요하도 자신 역시 쇼히처럼 될 것이라는 운명을 직감한다. 시간은 흐르고 운명대로 키요하는 쇼히 때무터 어항 안에 갖혀 있는 금붕어 처럼 자신 역시 작은 기방에 갖힌 빨간 꽃이 되어 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같은 운명을 한 기녀들 사이의 질투와 암투를 뒤로 하고라도..무엇 하나 미래를 감내할 길이 없는 이 여자들의 하루 하루는 영화의 화면을 가득 채운 기모노의 색깔과 화려하다 못해 눈이 부신 영화 속의 그림들로 인해서 아믈한 기녀들의 운명을 뒤로 하고 시각에 빠져들게 한다.

주인공들의 화려한 매일 매일처럼..영화는 색채감 100% 만족을 위해 하이 스피드로 달려가는 독특함을 표현해 준다. 일본색이 강하다 못해 쓰러질 듯 터져 나오는 기모노의 무늬와 색깔을 뒤로 하고서도 색의 대비를 강조한 세트와 풍경들은 일본의 극단적인 전통의 색깔 안으로 빠져 들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음을하면서 독특한 목소리를 지닌 츠치야 안나를 필두로 역시 독틈함이라면 빠지지 않은 음색의 소유자 칸노 미호까지 화려한 기녀들은 시대와 세월을 초월해서 영화를 보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자신이 속한 세계를 경멸하면서도 그 안에서 최고의 위치로 적응해 가는 키요하는 자신이 인생을 헤쳐가기 보다 적당이 거부하고 즐기면서 운명에 맞겨 버림으로서 자신도 모를 자유를 찾는다. 영화는 궁극에 이르러 키요하의 기방 탈출로 마무리 하면서 풍족함으로 쌓인 화려함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찾지 못하는 이들에 대한 오래된 역사를 반하는 영화적인 캐릭터를 구현한다. 워낙 사실적인 내용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 모두가 세트화 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는 영화는 화려한 화면만큼이나 독특한 시이나 링고의 음악 덕분에 더더욱 시간을 초월한 특이한 공간 안에 관객들을 위치 시킨다.

영화의 줄거리는 파격적인 내용보다는 일반적인 플롯 안에 놓여 있지만 그 지루할수도 있는 내용을 배우들의 의상에서 보여주는 색채감과 음악을 통해서 충분히 상쇄 시키고 독특한 영화로서 자리 매김한다. 키요하 역을 맡은 츠치야 안나의 연기는 영화 속의 주인공와 딱 맞아 떨어지는 듯 독특한 매력을 발산한다. 그녀의 음악에서 보여지는 독특함이 영화 안에 고스란이 묻어나는 듯 하다.
일본에 관한 일본색에 관한 탐구가 필요한 이들이라면 필히 봐야 할 신세대적인 일본영화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드는 작품이다. 일본의 기방이 가지고 있는 고즈넉하고 꽉 짜여진 범절이나 규칙과는 거리가 먼 날것들이 살아서 숨쉬는 것 같은 활기를 시대를 초워해서 보여주는 독특한 영화다. 영화 속의 빠른 속도감은 그런 뉘앙스를 더욱 더 강하게 풍겨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5. 18. 03:0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 작 : NTV
방영타이틀 : NTV 수요드라마
방 영 : 2007.10.10 - 2007.12.19

연 출 : 나구모 세이이치(南雲聖一)
각 본 : 요시다 토모코(吉田智子)
원 작 : 안노 모요코(安野モヨコ)

출 연 : 칸노 미호(菅野美穂)
          하야미 모코미치(速水もこみち)
          히라야마 아야(平山あや) 
          아라카와 요시요시(荒川良々) 
          요시자와 히사시(吉沢悠)  
         
음 악 : 모리 히데하루(森英治)
          시다 히로히데(志田博英)

주제곡 : '浮世CROSSING' by 우버월드

진정, 일을 프로로 하는 여성직업군에 대한 미화극이라고 봐도 좋을..여성노동력 예찬 드라마...
주인공 마츠카타는 주간지 편집기자로 일하고 있는 전문여성. 입사 7년차에 편집 기자 중에서는 최고라고 할만한 감각과 프로 정신을 가지고 있는 회사의 기대주 중 한 명이다. 사건이 발생하면 여느 남자 기자들 못지 않게 열심히 뛰는 모습은 물론이거니와 기사를 만들어내는 포인트 역시 감각적이다. 주요한 헤드라인 기사는 언제나 그녀의 손을 거쳐서 탄생하는 것 처엄 무척이나 비현실적으로 미화 되어 있다. 새벽부타 밤 늦게까지 낫토 김말이를 먹으면서 일에 매진하는 그녀의 드라마 속 모습은 많은 워킹 우먼들이 부러워 할만한 전문성과 패기를 지니고 있어 선망의 대상이 되기에 무방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나 문제는 언제나 사랑하는 애인보다 일에 더 매진하는 관계로 서로 사랑하면서도 연애에 실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아니 그럴 수 밖에 없도록 설정 되어 있다는 것. 물론 이 부분에서 워킹 우먼을 바라보는 일본의 남성들이 지닌 보수적인 성향을 엿 볼 수 있는데...왜 여자는 결혼을 해도 일을 하면 안되는지 혹은 불확실한 시간에 쫒기면서 빡빡한 회사 생활을 우선으로 생각할 수 없는지..사랑한다고 하는 남자에게서도 그런 이해를 구하는 건 그리 쉬워 보이지 않는다. 자신의 능력보다 상대방의 능력에 자격지심과 질투를 느끼는 남성들의 마음은 이해가 가지만, 함께 살면서 서로 희생하겠다는 의지 자체가 없어 보이는 것에는 적잖이 실망감을 가질 수 밖에 없는 부분이었다. 일면 우리 나라보다 더 심한건가 라는 의심이 살짝이 들기도 한 부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라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을 선택해서 지금의 자신을 더 사랑하고자 하는 여자 주인공의 자립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한다. 괴롭지만 더욱 더 열심히 일하고 힘들지만 더욱 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참는 워킹우먼.."왜 이런 상황에서도 글이 써지는가 말이다"라는 대사는 연애보다 더 일을 마쳤을 떄의 기쁨이 크다는 지금의 현재 상태를 그대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다이나믹하고 활기찬 작업현장과 스피디하면서 긴장감을 주는 일..그리고 그 일을 함께 하는 동료들과 믿고 의지 해주는 상사들..자신이 지닌 가치와 일의 재미를 충분히 누리고 있기에..남자 하나가 그 전부와 바꾸기엔 역부족인 셈이다. 보다 전문직으로 넘어 갈 수록 이런 현상은 더욱 더 커지는 듯 한데, 자신의 미래를 한 남자에게 맡긴다는 발생 자체가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자리 잡은 여성에게는 진부한 이야기 인지도 모르겠다. 드라마는 열심히 일하는 여성을 심하게 과장해서 일하는 여성에 대한 현실적임 문제들을 피해간다는 아쉬움도 크고 나이가 들면서 생길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을 노출하는 부분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일 안에만 주인공을 가두어 둔 드라마라는 생각을 많이 갖게 한다. 일과 사랑..일과 가족, 일과 미래 등, 일하는 여성들이 흔히 느낄 수 있는 많은 문제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면 어땠을까?조금 산만했을까 하는 생각을 스치면서 해 본다. 각 에피소드마다 잡지 한권이 만들어지기 위한 노력들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은 무척이나 드라마를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개인적으로 그런 세계에 대한 동경이 있어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8. 3. 9. 02:58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3년, 일본, 114분
다른 제목 : 칠석의 여름

감 독 : 사사베 키요시(佐々部清)
각 본 : 사사베 키요시(佐々部清)
 
출 연 : 미즈타니 유리(水谷妃里) 
          우에노 주리(上野樹里)  
          카츠라 아사미(柱亜沙美)
          미무라 타카요(三村恭代)
          준페이(淳評)  
          야마모토 죠지(山本譲二)  
          타카기 미오(高樹澪)
          나츠키 마리(夏木マリ)  
          카나자와 미도리(金沢碧)  
          타니가와 마리(谷川真理)  
          이루카(イルカ)   
 
음 악 : 카바사와 미노(加羽沢美濃)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거리적으로 가까운 부산과 시모노세키를 무대로 한 해는 부산에서 또 다른 한해는 시모노세키에서 청소년들의 육상부 경기를 통해 그려내는 풋풋한 사랑이야기. 우에노 주리의 무명 시절의 얼굴을 볼 수 있는 건 또 다른 보너스이다.

10대 후반의 청춘기에 일본인 여학생과 한국인 남학생의 우연한 만남...그리고 각자의 나라에서 각자의 생활에서 둘의 연애 감정이 얼마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지 잔잔하게 그려낸다. 2003년도에 제작된 영화지만, 마치 1993년도 혹은 1983년도에 제작된 영화처럼 추억 속의 이야기 기운이 가득한 영화다. 드라마를 풀어가는 방법도 무척이나 고전적이며 주인공들의 연기 역시 옛날 사람의 옛날 사랑처럼 순수함이 가득하다. 우연히 일본과 한국의 친선을 위한 육상경기에서 만나게 된 소년솨 소녀가 일년을 넘어 혹은 20여년 동안 그리워 하고 애틋해 했다는 설정이 전혀 어설프지 않게 잘 그려져 있다.

영화의 말미, 20년 이후에 이미 지나가 버린 사랑을 추억하는 여주인공을 통해서 지나간 청춘기의 사랑에 대한 아름다움을 잘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름다운 시간, 아름다운 시절..순수했기 떄문에 마음이 아프고 또 그 만큼 그리운 그 시기에 대해 20년을 지난 재회를 통해서 씽긋 웃게 해 준다. 지극히 관례적인 결말이지만, 영화를 보는 관객은 그 결말 그 자체에 슬쩍 기분 좋은 흥분을 갖게 된다. 누군가에게 영화 속의 그런 과거의 사랑이 있고 20년이 지나서 다시 들춰 낼 수 있고..그 추억의 상대를 추억이라는 이름만으로 다시 만날 수 있다면 그 것만으로도 좋다는 생각이 저절로 드는 것이다. 지나간 것이기에 좋았고, 지금에도 다시 추억할 수 있어서 좋고, 또 다른 이름으로 현실이 되어서 좋은 이들의 만남은 그것 자체로 충분히 아름다와 보인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4명의 여자 친구들의 20년 가까운 우정도 보기가 좋고..부산과 시모노케키, 한국과 일본이라는 대치에 대해서 별 무리 없이 그려진 점 역시 부담감이 없어서 좋았다. 단지 한국인으로 나온 일본인들의 발음이 너무 서툴러서 조금 NG 였지만...충분히 이해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영화 속의 순수함이 충분히 지루하지 않게 그려진 소녀풍 영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0. 10. 12:4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