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6부작

감독 : 홍종찬, 임현욱

방송편성 : JTBC

각본 : 이수연

출연 : 이동욱, 조승우, 원진아, 이규형, 유재명

 

차원이 다른 의학 드라마..

기존의 의학 드라마가 의술을 보여주는 로맨틱 코미디나 멜로였던 것에 비해 보다 병원 경영과 민영의료화와 같은 사회적 이슈에 접근했다는 점에서 다르긴 다른 의학 드라마.. 실제로 의료기술을 보여주는데 집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학 드라마를 다루는 포인트는 많이 다른 드라마였다. 예를 들어 의술에 타고난 화타같은 주인공이 죽을 사람을 막 살려낸다거나...천재라서 다른 의사를 기죽이는 의사 이야기 같은 건 배제하고..의사도 사람이고 의사도 정치를 해야 하고 의사도 먹고 살아야 하는 문제들..더 나아가서 사회적으로 총망받는 의사라는 직업도 얼마나 지긋지그 하기 싫은 노동이하나라는 걸 보여주는 부분에서는 재미와는 별개로 작가가 기존의 드라마와는 다른걸 보여주고 싶었다는 건 확실 한 것 같다.

 

개인적으로 조승우는 멜로나 로멘틱 코미디를 피하는 배우일까 의구심이 들 정도로 너무 무딘 멜로라인을 그리고 있으나 차갑고 지적이지만 은근한 인간미가 있는 리더나 도전자 역을 너무 잘 하는구나 거기에 비해 이동욱은 경직 경직 답답 답답 역할의 성격이 그렇기도 하거니와 보인의 캐릭터와 너무 맞아 떨어져서 정말 저 인간 저렇게 답답한건 아닐려나 의구심이 들 정도였다. 작가가 조승우와 유재명을 총애한다는 것 정도는 금방 알 수 있었고..주연을 제외한 다른 캐릭터들에 더 눈이 많이 갈 정도로 인간적이면서도 생각할 만한 거리를 주는 조연들이 많았는데 특히 장기이식센터의 태읺인호나 구승효 대표의 비서 역을 맡은 엄혜란 같은 경우는 정말 반짝반짝하는 캐릭터라고 생각한다. 생활인으로써의 의사나 대기업의 대표의 조력자로써의 여성 비서의 역할이 상당히 고급스럽게 다루어져서 굉장히 매력적으로 보였다. 

드라마는 분명 다른 의학 드라마였다. 그러나 전작 <비밀의 숲>보다는 덜 치열하고 다른 로코 보다 덜 달달해서 어떠했을지 모르겠는데..나는 주된 플롯이나 주인공의 감정라인을 배제하고 주변 캐릭터들의 반짝반짝 함에 눈이 부신 드라마였다고 생각한다.

 

오래간만에 본 의학 드라마였기도 하고 덕분에 더운 여름 즐겁게 정주행!!

 

- 드라마 속의 명대사 -

 

"힘들어서 죽겠지않냐라는 질문을 가장 많이 받습니다. 사람이 죽는 건 심정지 때문이지 힘들어서 죽지는 않죠. 왜 이 길을 택했냐는 질문이 그 다음이더군요. 공부한게 아까워서, 사람 살리는 방법을 죽도록 공부했으니까. 그리고 용기가 없어서 내 눈앞에서 사라지는 생명을 외면할 용기가 없어서... 저는 앞으로도 용기가 없을 것 같습니다. 원장님.."-예진우

 

"생명의 중심은 뇌일까 심장일까 이천년도 더 된 논란의 중심이라고 하셨죠. 저는 피라고 답하고 싶습니다. 뇌와 심장을 잇고 우리 몸 구석구석을 순환하는 피가 생명의 꽃이다. 피가 쏟아지는 걸 보았습니다. 뇌와 심장을 챙기겠다고 팔다리를 자르는게 나의 몫이라니요. 살린 자리에서 쏟아진 피로 우리 집이 물들게 할 순 없었어요.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원장님 제가 잘한걸까요? "-주경문 교수

 

" 저는 김해 토박이입니다. 2013년에 그 곳을 떴습니다. 환자를 잃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파견 나갔던 의로 기관이 폐쇄됐을 때, 전 의료 기관이 파괴당한 걸 봤습니다. 근무태만, 혈세 낭비, 불친절, 적자.. 공공 의료원 문제를 동조하며 폐쇄한 의료기관에 동조하던 댓글들. 낡은 의료기관 신세를 져야만 했던 어쩔 수 없는 사람들, 당시 의료 기관은 30억40억의 적자를 두고 있었습니다. 경남도 1년 재정(12조)의 0.025%. 저는 묻고 싶었습니다. 그 돈이 그렇게 아까웠습니까? 하지만 문제점을 개선시켜서 다시 쓸 수 있는 나름의 기회였는데, 고민 대신에 날려버렸어요."- 주경문 교수

 

"뭐 이렇게 하고 싶은게 하나도 없냐.."-선우창

by kinolife 2019. 8. 19. 14:06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6, 한국, 120분
영어 제목 : Pounds Beauty

감 독 : 김용화
각 본 : 김용화, 노헤영
원 작 : 스즈키 유미코(鈴木由美子)

출 연 : 주진모, 김아중, 성동일, 김현숙
          임현식, 이한위, 서윤, 박노식
          명규, 정윤, 베니, 박휘순
          이수연, 이범수, 김용건, 이원종
          류승수, 김승수

음 악 : 이재학

작년 최고 히트 작 중에 하나인 <미녀는 괴로워>..만화를 읽은 지가 몇년이나 지나서 만화의 내용은 크게 생각이 나지 않지만, 뚱뚱한 여자가 미녀가 되고 난 이후 미녀로서의 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몇몇 가지 장면들이 언뜻 스쳐 지나가는 작품. 국내에서 영화에서 리메이트 된 영화에서는 전신 성형의 이야기에 다시 국내 연예게에서 노래를 하는 가수들의 생활 이면에다 이 이야기를 깔아서 원작과는 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전신성형'
이라는 모티프만 가져 오고 전체적인 이야기는 새로 짜여진 셈인데..보다 영화적인 흥미거리를 녹이기에는 좋은 선택이 아니였나 하는 생각이 든다. 영화가 만화와는 달리 귀가 열려 있다는 걸 생각한다면 지적인 변환이었다. 영화 개봉 이후, 영화도 대박이 나고 음악 역시도 초 대박이 났었으니 결과론 적으론 나이스! 그 자체 인지도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녀 가수의 뒤에서 노래를 부르는 대역 가수 혜나는 자신의 노래를 가치 있게 인정해 주는 한 PD를 사모하고 있다. 물론 끊임없는 혼자만의 울림이기에 큰 기대를 품지 않고 혼자 좋아하는 거지만, 그런 그녀의 재능에 질투하는 가수 아미의 계략으로 인해서 한 PD가 자신의 재능이나 가치를 그저 경제적인 사용 이유 쯤으로 생각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결국은 죽음이라는 배수진을 치고 전신성형 수술을 감행 한다. 막 수술을 마친 이후...울어도 자다가 방금 일어난 얼굴 마저도 여전히 이쁜 자신의 얼굴과 몸을 보고 전혀 믿겨 하지 않는 혜나..말 그대로 미녀로서의 행복한 생활이 시작된다. 얼굴 이쁘니 세상사 이렇게 편한가..그것에 대한 과장된 시선이 무척이나 재미 있지만 일면 씁쓸함도 느끼게 한다. 과장 되어 보이지만, 우리들이 접해서 살아가는 세상의 모습 그대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버릴수도 무시할 수도 피해갈 수도 없는 현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자는 세가지 부류로 나누지...아주 미인..명품..평범한 여자 진품...그리고 니 같이 뚱뚱하고 못생긴 부류..반품..."이라고 말해 버리는 친구의 말 조차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것이다. 정신병으로 아파하는 아버지를 위해서 열심히 일하면서 노래를 부르면서 즐겁게 꿈을 키워가는 여자에게 덕지 덕지 붙은 살은 진정한 갈림돌임에 틀림이 없다. 영화가 만화를 바탕으로 굉장히 과장하고 확대해서 표현하고 있다는 건 알겠는데, 너무 뚱뚱하고 수술 후엔 너무 이뻐지는 이 설정을 그저 웃으면서 보고 있어야 하는지 의문이 슬슬 들기도 한다. 사실적인 표현을 버리고 과감하게 극 과장을 선택해서 영화의 재미를 극대화 한 결과 많은 관객들에게 성형에 대한 관심을 높혔지만, 여성에게 있어 외모의 의미에 대한 깊은 성찰은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성형이라는 이슈 때문에 역할을 맡기를 부담스러워 했다는 여배우들을 뒤로 하고 본 영화의 주인공을 맡은 김아중은 탑 배우로 부상했지만, 그녀의 연기나 발음은 내 눈엔 거슬리는 부자연스러움이 느껴지기도 했다. 그 전에 본 드라마의 역할이나 이 영화 속에서의 연기나 크게 발전한 모습을 보이지 못한 점은 아쉬움이 크다. 영화의 특성을 살려서 영화 내의 주제곡을 직접 불러 종합 엔터테이너로서의 가치를 보여 주긴 했지만, 배우로서의 가능성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세 했다. 코미디 영화의 역할에 맡게 변신하는 조연 배우들과 앙꼬로 출연한 배우들의 캐릭터는 영화 안에서 빤짝 반짝 빛난다. 영화보다 더 이슈가 되었던 음악의 가치는 경제적인 이슈...블론디의 노래를 다시 한국에 울려퍼지게 한 가치 등은 오랫 동안 기억에 남을 듯 하다.

빈 말로 저런 몸매와 얼굴로 일주일만...여왕처럼 일주일만 살아봤음 한다는 농담을 영화로 그려내서 많은 여성들에게 대리 만족을 전해 준 영화..시작도 여기였고, 끝도 이 이상을 벗어나지 못하는 킬링 타임용 영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by kinolife 2007. 11. 22. 15:3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