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감 독: 모리따 요시미츠(森田芳光)
각 본 : 모리따 요시미츠(森田芳光)
음 악 : 노리키 소우이치(野力奏一)
사토 토시히코(佐藤俊彦)
출 연: 후카츠 에리(深津繪里)
우치노 마사아키(内野聖陽)
타케시타 코타로(竹下宏太郎)
토다 나호(戸田菜穂)
야마자키 나오코(山崎直子)
츠루쿠 마사하루(鶴久政治)
미야자와 카즈후미(宮沢和史)
히라이즈미 세이(平泉成)
코지마 노리코(小島法子)
미즈노 아야(水野あや)
모토하시 유카(本橋由香)
사카이 타카유키(酒井尊之)
센다 마사아키(千田雅明)
스즈키 노리코(鈴木則子)
우시오 테츠야(潮哲也)
야기 마사코(八木昌子)
요즈음 사람들이 제일 많이 쓰는 단어 중에서 컴퓨터 관련해서는 '인터넷'이란 단어와 'E-Mail'은 그 중에서도 으뜸일 것이다. 그러나 3~5년 전 만해도 우리들에겐 이들보다는 '통신'이나 '아이디'라는 말을 더 많이 썼던 적이 있었다. 이른바 '모뎀세대' 혹은 '인터넷 이전세대'의 이야기일지 모르겠다. 그 때의 기억을 한 번 더 살려보면 국내에선 그 유행을 알게끔 하는 한 편의 영화를 행각해 낼 수가 있다.바로 한석규, 전도연 주연의 <접속>이 바로 그 영화. 하지만 일본에선 이보다 앞서 컴퓨터 통신을 매개로 한 한편의 멜로 드라마를 선보였던 적이 있다.
영화의 제목은 <하루> 일본말로 '봄'이라는 뜻을 지닌 이 영화의 제목은 주인공의 통신 아이디이기도 하다. 컴퓨터 통신의 기능은 아주 많이 있겠지만, 영화 <접속>이나 <하루>에서의 기능을 본다면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다는 것은 먼 곳에서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의 만남을 주선해 주는 아주 고마운 현대판 매파이기도 하다. 간편하기도 하고 개인적이라 편하기도 한 이 도구는 여러면에서 아주 고마우면서도 매력적인 수단이기도 했다.
그런 면에서 영화 <하루>는 멜로드라마적인 부분은 보다 개인적이며 사색적이 더 은근한 맛이 있다. 오랜 통신 친구를 우정도 아니고 연정도 아닌 부정확한 상태에서 만나는 모습에서 사랑에 대해 피상적인 생각을 하며, 자기 안으로만 움츠려 드는 현대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가는 전철을 통해 각자의 존재를 멀리서 느끼기만 하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하루>의 카메라는 사실 기대만큼이나 두려운 첫 만남의 모습을 너무 잘 표현한 부분이기도 하다. 사실 <접속>에서 영화티켓을 보내면서 만날 장소를 정하는 모습에 비해 이 장면의 파장이 훨씬 더욱 깊게 느껴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게 컴퓨터 통신은 사람과의 만남에 있어서 사람을 용감하게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소극적으로 만들기도 했던 소통의 수단이었던 것이다.
'All That Japan > Japan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어서오세요 환자님 いらっしゃいませ、患者さま。]-환자와 환자님의 차이 (1) | 2007.01.30 |
---|---|
[영화]<같은 달을 보고 있다 同じ月をみてる>-같은 달을 각자 다르게 바라본다. (0) | 2006.12.03 |
[영화]<기쿠지로의 여름 菊次郞の夏>-기타노 다케시 감독판 키드 Kids (1) | 2006.11.14 |
[영화]<카미가제 택시 復讐の天使>-야구 방망이를 든 택시 운전수 (0) | 2006.10.30 |
[배우]<Love Letter>로 너무 유명해져 버린 배우-나까야마 미호(中山 美穗) (0) | 2006.10.22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