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상영 시간 : 95분 상영 시간 : 118분
제작 년도 : 1987년 제작 년도 : 2008년
감 독 : 임권택 감 독 : 주세페 토르나토레(Giuseppe Tornatore)
각 본 : 송길한 각 본 : 주세페 토르나토레(Giuseppe Tornatore)
출 연 : 강수연 출 연 : 크세니야 라포포트(Kseniya Rappoport)
이구순 미첼 프라치도(Michele Placido)
윤양하 클로디아 게리니(Claudia Gerini)
김형자 피에르프란체스코 파비노
방희 (Pierfrancesco Favino)
피에라 데글리 에스포스티(Piera Degli Esposti)
촬 영 : 구중모 촬 영 : 파비오 자마리온(Fabio Zamarion)
음 악 : 신병하 음 악 : 엔니오 모리꼬네(Ennio Morricone)
이 두 영화의 공통점을 이야기 한다는 것 자체가 반인륜적이고 슬프다는 것이 아닐까.
자신의 아이를 낳아서 자신이 기를 수 없다는 것..그건 정말이지 앞뒤를 다 잘라도 한 인간에게 특히 여자에겐 가장 잔인한 징벌이 아닐 수 없다.
1987년도에 만들어져(흐흡 만들어진지 22년이 지난...) 해외 영화제에서 수상도 많이 한 임권택 감독의 대표작 <씨받이>는 당시 인권이라는 단어가 생소했던 시대상을 생각한다면, 꽤 드라마틱한 영화 소재의 구현 이상도 이하도 아닌 작품인지도 모르겠다. 뜻하지 않게 해외 영화제에 소개되고 여주인공이 수상하고 떠들썩 해지자 일부 언론에서 국내의 비인권 사각지대를 무시하고 비상식적이고 비현실적인 표현으로 국제적으로 나라망신을 시킨다고 하지 않았을까.. 하지만 그건 단순한 영화 소재만은 아니었다. 시대를 과거로 거슬러 표현하긴 했지만 영화가 만들어지고 2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나라는 해외입양이 계속되고 있으니 우리 나라에서 자신의 아이를 버리거나 빼앗기거나 키울 수 없다는 건 현실에서도 크게 변화지 않았다. 이 영화의 이야기는 그냥 영화의 소재만은 아닌지도 모른다.
너무나 영화적인 실제 사건을 정말 영화적인 정공법으로 전해주는 이 영화는 클래시컬한 매력을 통해서 내가 영화를 보면서 희열을 느끼는 원래 모습을 느끼게 해 주었다. 묵직하고 슬픈(아이를 막 낳고 가슴에서 모유가 흘러 옷을 적시는데도 아이는 뼤앗겨져서 이미 없는 장면에서는 슬픔의 극치였다.) 소재를 인간적인 비애를 느끼게 까지 해서 마음은 무거웠지만 영화보는 재미는 나쁘지 않았다. 얼굴은 40대지만 몸은 70대 같은 여성의 삶을 극적으로 연기한 크세니야 라포포트(Kseniya Rappoport)라는 이름도 기억해 둘만 하다. 영화 <씨받이>에서 아이를 빼앗는 이유가 남의 시선.이른바 대를 이어야 한다는 대의 명분에 있다면 영화 <언노운 우먼>에서는 젊은 여성들을 씨받이로 이용해 돈을 벌기 위한 추악한 자본가의 모습이 비 인간적인 패륜아 이미지와 겹치면서 강하게 부각된다. 이유야 각각 달랐지만 영화 속의 여성은 자신이 낳은 아이의 어머니가 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그 현실에 반기를 들만한 힘이 없다는 공통점을 통해서 모성을 버려야 하는 여성의 고통에 대해서 치열하게 표현한다. 두 작품 다 같은 소재를 가지고 있지만 각각의 나라의 이미지를 정극과 스릴러 비법을 통해서 의미 있게 그려낸 수작들이라는 생각을 한다. 영화를 만든 감독들을 명장이라고 하는 이유는 "야 영화의 소재로 흥미로운데.."라고 하는 걸 단순히 흥미에만 그치지 않고 여러가지 생각을 할 수 있는 모티브를 많이 전해주기 때문에 그들을 명장이라고 하는 것이 아닐까. 두 영화 모두 그렇다.
'All That My Life > 고거 & 이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5일의 마중 歸來] VS 영화 [노트북 The Notebook] (0) | 2015.02.16 |
---|---|
전기, 동화책 [코코 샤넬 Coco Chanel] VS 영화 <코코 샤넬 Coco Avant Chanel> (0) | 2009.09.29 |
영화 [살인의 추억] vs 영화 [추격자] (0) | 2008.12.26 |
동화 [호튼] vs 영화 [호튼] (0) | 2008.07.16 |
드라마 [자전거 소년기 自転車少年記] VS 소설 [자전거 소년기] (0) | 2008.04.2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