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상영시간 : 138분 상영 시간 : 104분
제작 년도 : 1997년 제작 년도 : 2007년
감 독 : 토마스 얀(Thomas Jahn) 감 독 : 로브 라이너(Rob Reiner)
각 본 : 틸 슈바이거(Til Schweiger) 각 본 : 캐롤 푸치스(Carol Fuchs)
토마스 얀(Thomas Jahn) 산드라 네텔벡(Sandra Nettelbeck)
출 연 : 틸 슈바이거(Til Schweiger) 출 연 : 잭 니콜슨(Jack Nicholson)
얀 요세프 리퍼스(Jan Josef Liefers) 모건 프리먼(Morgan Freeman)
티어리 반 베어베케(Thierry Van Werveke) 숀 헤이스(Sean Hayes)
모리츠 블라입트로이(Moritz Bleibtreu) 롭 모로우(Rob Morrow)
룻거 하우어(Rutger Hauer) 알폰소 프리먼(Alfonso Freeman)
음 악 : 프란쯔 플라사(Franz Plasa) 음 악 : 마크 샤이먼(Marc Shaiman)
먼저 독일 영화 <노킹 온 헤븐스 도어>를 보면, 뇌종양과 골수암에 걸린 젊디 젊은 두 청년은 암과 싸우는 방법을 찾는 것보단 남아 있는 시간을 받아들이며 병에 의해 자신의 몸이 잠식 당하기 전과 다른 삶을 사는 것으로 인생의 종지부를 찍고자 한다. 둘의 가장 큰 바램은 "바다를 보고 싶어" 그래 좋아 그렇게 하자..담배와 데낄라를 들고 시작된 이들의 여행은 하늘의 문과 맞닿아 있다는 천국을 항해 가는 길을 벤츠 한 대를 훔치는 것으로 시작한다. 모든 여행에는 돈이 들기 마련인데..이들의 여행엔 소박하게 차 한대를 훔치는 것이었지만, 그 차가 범죄 조직의 검은 돈이 담긴 차라는 데서 영화는 두 청년의 인생 마감기에서 쫒고 쫓기는 추격신 가득한 액션 코미디물로 액티브 하게 변화 시킨다. 가끔씩 경련이 오고 그 경련보다 더 무서운 갱단의 생명적 위협이 있지만, 이들에겐 바다를 향한 단순한 그리움과 함께 이미 시작되어 버린 여행을 멈출 수가 없다. 이 영화에서도 영화 <버킷 리스트>와 같이 죽기 전에 해 보고 싶은 일들을 감행하는데..여행도 인생도 이미 끝이 정해져 있기에 그 바램은 더욱 더 간절하게 다가온다. 그들이 바라던 바다 앞에서 죽음을 받아들이는 청년들...과연 하늘과 맞닿아 있는 천국은 어떤 모습일까..아직 이 지상에서 몸을 붙이고 숨쉬는 인간들에게 그건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 욕심의 궁극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영화는 극적이고 너무나 시적이라 마음이 뭉클 뭉클 해 지고야 만다.
영화는 이들이 정해놓은 리스트대로 순조롭게 진행이 되고, 우연히 병을 만나고 또 우연히 친구를 만나고 또 우연히 죽음을 맞는 것 처럼 모든 사건들의 우연히 필연적으로 진행이 된다. 모은 인간들이 유한적인 삶을 살면서도 당장은 잊고 사는 것을 감안 한다면..남아 있는 생을 어떤 리스트로 채워 나갈지...계획 어린 삶이란 그리고 의미 있는 각자의 삶이란 어떤 것인지 고민하게 된다. 개인 적으로는 쓸쓸한 활력을 담보한 <노킹 온 헤븐스 도어>에게 더 점수를 주고 싶은데..노년의 저 거장 배우들을 보는 즐거움 역시 <버킷 리스트>를 보는 백미로 버릴 수 없을 것 같다. 죽음을 향해 가는 여행이라 그런지..이 두 영화 모두 음악들이 죽인다. 마지막 여행에 콧노래가 빠지면 섭섭하다는 것인지..그만큼이나 영화 안에는 모든 이들이 겪고 누리는 희 . 노. 애. 락이 모두 담겨 있는 것 같다.
'All That My Life > 고거 & 이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자전거 소년기 自転車少年記] VS 소설 [자전거 소년기] (0) | 2008.04.28 |
---|---|
영화 [내 머리 속의 지우개] vs 드라마 [내 머리 속의 지우개 私の頭の中の消しゴム] (0) | 2008.04.25 |
소설 [검은집 黑い家] VS 영화 <검은집 Black House> (0) | 2008.03.19 |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VS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0) | 2008.02.25 |
만화 [아파트] VS 영화 <아파트> (0) | 2008.02.16 |
글
상영시간 : 138분 상영 시간 : 104분
제작 년도 : 1997년 제작 년도 : 2007년
감 독 : 조안 첸(Joan Chen) 감 독 : 스콧 힉스(Scott Hicks)
각 본 : 앨리슨 버넷(Allison Burnett) 각 본 : 캐롤 푸치스(Carol Fuchs)
산드라 네텔벡(Sandra Nettelbeck)
출 연 : 리차드 기어(Richard Gere) 출 연 : 케서린 제타 존스
위노나 라이더(Winona Ryder) (Catherine Zeta-Jones)
안소니 라파글리아(Anthony LaPaglia) 에론 에크하트(Aaron Eckhart)
일레인 스트리치(Elaine Stritch) 아비게일 브레스린(Abigail Breslin)
베라 파미가(Vera Farmiga) 밥 바라반(Bob Balaban)
셔리 스트링필드(Sherry Stringfield) 제니 웨이드(Jenny Wade)
음 악 : 존 파웰(John Powell) 음 악 : 필립 글래스(Philip Glass)
미국의 잘 나가는 레스토랑을 무대로 벌어지는 두 편의 영화..이 영화들 역시도 딱 10년의 차이를 두고 만들어졌다. 멜로드라마의 틀을 화려한 조명과 번잡한 레스토랑이라는 무대를 바탕으로 풀어 낸 두 영화의 공통점은 레스토랑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 안에서 사랑을 키워 간다는 것..거기에다 영화 <뉴욕의 가을>은 연인의 죽음을..<사랑의 레시피>는 여주인공 언니의 죽음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전개 해 음식을 크게 대두 시키는 차이점이 있다.
차이점 만큼이나 공통점도 있는데 <뉴욕의 가을>은 레스토랑의 주인이면서도 바람둥이인 남자 주인공이 아주 까탈스럽고 까칠한 성격으로 <사랑의 레시피>는 고급 레스토랑의 쉐프인 여자 주인공이 과도한 프로의식으로 인한 신경질 적인 성격의 소유자로 나온다. 이들 모두가 레스토랑에서 하나는 손님으로 또 하나는 자신의 부하 직원으로 온 부 주방장을 통해서 자신의 까칠함을 덮어주고 자신의 변화시켜주는 사랑의 메신져를 만난다는 부분은 같지만 조금씩 다른 모양새를 해서 비교하는 재미가 조금은 있다.
레스토랑의 주방에서 사랑이 시작되고 완성되는 <사랑의 레시피> 그에 비래 레스토랑이라는 무대에서 주인공들이 만나지만 단순한 영화적인 배경에 불과한 <뉴욕의 가을>...음식에 관한 혹은 레스토랑에 관한 이야기를 보기에도 그리고 그 안에서 벌어지는 사랑에 흡입되기에도 <사랑의 레시피>가 한수 위인건 확실한 거 같다. 궂이 우열을 나눌 수 없을 정도로 그다지 매력들이 있는 영화들은 아니지만, 문안함이라는 점이 가장 큰 우위점을 두고 본다면 역시 10년이 지난 이후 먼들어진 살아 있는 주방이 조금 더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All That My Life > 고거 & 이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VS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0) | 2008.02.25 |
---|---|
만화 [아파트] VS 영화 <아파트> (0) | 2008.02.16 |
영화 [페이스 오프 Face/Off] vs 영화 [더 게임] (0) | 2008.01.22 |
드라마 [마라톤 マラソン] vs 영화 [말아톤] (0) | 2008.01.02 |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 vs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 8月のクリスマス] (0) | 2007.12.2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