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상영시간 : 138분 상영 시간 : 104분
제작 년도 : 1997년 제작 년도 : 2007년
감 독 : 토마스 얀(Thomas Jahn) 감 독 : 로브 라이너(Rob Reiner)
각 본 : 틸 슈바이거(Til Schweiger) 각 본 : 캐롤 푸치스(Carol Fuchs)
토마스 얀(Thomas Jahn) 산드라 네텔벡(Sandra Nettelbeck)
출 연 : 틸 슈바이거(Til Schweiger) 출 연 : 잭 니콜슨(Jack Nicholson)
얀 요세프 리퍼스(Jan Josef Liefers) 모건 프리먼(Morgan Freeman)
티어리 반 베어베케(Thierry Van Werveke) 숀 헤이스(Sean Hayes)
모리츠 블라입트로이(Moritz Bleibtreu) 롭 모로우(Rob Morrow)
룻거 하우어(Rutger Hauer) 알폰소 프리먼(Alfonso Freeman)
음 악 : 프란쯔 플라사(Franz Plasa) 음 악 : 마크 샤이먼(Marc Shaiman)
먼저 독일 영화 <노킹 온 헤븐스 도어>를 보면, 뇌종양과 골수암에 걸린 젊디 젊은 두 청년은 암과 싸우는 방법을 찾는 것보단 남아 있는 시간을 받아들이며 병에 의해 자신의 몸이 잠식 당하기 전과 다른 삶을 사는 것으로 인생의 종지부를 찍고자 한다. 둘의 가장 큰 바램은 "바다를 보고 싶어" 그래 좋아 그렇게 하자..담배와 데낄라를 들고 시작된 이들의 여행은 하늘의 문과 맞닿아 있다는 천국을 항해 가는 길을 벤츠 한 대를 훔치는 것으로 시작한다. 모든 여행에는 돈이 들기 마련인데..이들의 여행엔 소박하게 차 한대를 훔치는 것이었지만, 그 차가 범죄 조직의 검은 돈이 담긴 차라는 데서 영화는 두 청년의 인생 마감기에서 쫒고 쫓기는 추격신 가득한 액션 코미디물로 액티브 하게 변화 시킨다. 가끔씩 경련이 오고 그 경련보다 더 무서운 갱단의 생명적 위협이 있지만, 이들에겐 바다를 향한 단순한 그리움과 함께 이미 시작되어 버린 여행을 멈출 수가 없다. 이 영화에서도 영화 <버킷 리스트>와 같이 죽기 전에 해 보고 싶은 일들을 감행하는데..여행도 인생도 이미 끝이 정해져 있기에 그 바램은 더욱 더 간절하게 다가온다. 그들이 바라던 바다 앞에서 죽음을 받아들이는 청년들...과연 하늘과 맞닿아 있는 천국은 어떤 모습일까..아직 이 지상에서 몸을 붙이고 숨쉬는 인간들에게 그건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 욕심의 궁극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영화는 극적이고 너무나 시적이라 마음이 뭉클 뭉클 해 지고야 만다.
영화는 이들이 정해놓은 리스트대로 순조롭게 진행이 되고, 우연히 병을 만나고 또 우연히 친구를 만나고 또 우연히 죽음을 맞는 것 처럼 모든 사건들의 우연히 필연적으로 진행이 된다. 모은 인간들이 유한적인 삶을 살면서도 당장은 잊고 사는 것을 감안 한다면..남아 있는 생을 어떤 리스트로 채워 나갈지...계획 어린 삶이란 그리고 의미 있는 각자의 삶이란 어떤 것인지 고민하게 된다. 개인 적으로는 쓸쓸한 활력을 담보한 <노킹 온 헤븐스 도어>에게 더 점수를 주고 싶은데..노년의 저 거장 배우들을 보는 즐거움 역시 <버킷 리스트>를 보는 백미로 버릴 수 없을 것 같다. 죽음을 향해 가는 여행이라 그런지..이 두 영화 모두 음악들이 죽인다. 마지막 여행에 콧노래가 빠지면 섭섭하다는 것인지..그만큼이나 영화 안에는 모든 이들이 겪고 누리는 희 . 노. 애. 락이 모두 담겨 있는 것 같다.
'All That My Life > 고거 & 이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자전거 소년기 自転車少年記] VS 소설 [자전거 소년기] (0) | 2008.04.28 |
---|---|
영화 [내 머리 속의 지우개] vs 드라마 [내 머리 속의 지우개 私の頭の中の消しゴム] (0) | 2008.04.25 |
소설 [검은집 黑い家] VS 영화 <검은집 Black House> (0) | 2008.03.19 |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VS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0) | 2008.02.25 |
만화 [아파트] VS 영화 <아파트> (0) | 2008.02.16 |
글
감 독: 알렉산더 페인 (Alexander Payne)
각 본 : 알렉산더 페인(Alexander Payne)
짐 테일러(Jim Taylor)
원 작 : 루이스 베글리(Louis Begley)
출연: 잭 니콜슨(Jack Nicholson)
호프 데이비스(Hope Davis)
더몬트 멀로니(Dermot Mulroney)
렌 카리오우(Len Cariou)
하워드 헤스먼(Howard Hesseman)
케시 베이츠(Kathy Bates)
준 스큅(June Squibb)
매트 윈스톤(Matt Winston)
해리 그로너(Harry Groener)
코니 레이(Connie Ray)
필 리브스(Phil Reeves)
제임스 M. 코너(James M. Connor)
스티브 헬러(Steve Heller)
안젤라 랜스베리(Angela Lansbury)
음 악 : 롤페 켄트(Rolfe Kent)
같은 직장에서 30년을 전후하는 시간동안 근속 근무를 한다는 건 요즘같은 직장 분위기, 근무 환경을 생각한다면 참으로 힘든 일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장애도 많고, 옛날 사람들의 이야기 쯤으로 치부되기도 쉽고, 요즘에도 그런 마인드로 일하는 사람이 있다니 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만큼 한 직장에 뿌리를 박고 일을 한다는 것은 언제부턴가는 능력이 없다는 것의 한 증거가 되기도 했고, 고지식하다는 말과 연관되어 그 사람의 경직성을 표출하는 다른 표현이 되기도 했다.
그래미 시상식에서 남우 주연상이라는 화려한 타이틀을 달고 개봉한 영화 <어바웃 슈미트>는 그 수상자의 이름이 잭 니콜슨이라는 사실에 어느 정도 안정적인 연기를 기대하며 영화에 다가가게 한다. 하지만 영화가 끝나고 나오는 순간엔 그가 아니면 안되는, 아니 그를 진짜 연기자로 만들어준 영화구나 라는 생각을 쉽게 하게 된다. 이 바보같고 꽉 막힌것 같은 슈미트는 말 그대로 잭 슈미트여만 가능헐 것 같아 보인다.
이런 그에게 지저분하고 너무 싫어하는 습관으로 학을 떼게 하는 지겨운 아내의 죽음, 죽음 이후 밝혀지게 되는 친구와 아내와의 불륜은 이제 그가 믿었던 가족은 가짜였으며, 그를 일하게 해준 사회는 단순히 그를 이용한 장치였는지도 모를 일이다. 사회는 슈미트를 버렸고, 슈미트 혼자에게 남겨진 가정은 모든 의미상실이 벽에 부닥트리며 힘을 잃고 만다. 말 그대로 팔 떨어지고 다리 부러진 연은 이제 곧 어느 이름없는 촌동네의 나뭇가지에 걸려 떨어지고, 부서져 날아가 없어져야 할 판인지도 모른다. 여기에 성에 차지 않는 사위와 상식적으로 받아들여 지지 않은 사돈은 자신이 살아온 삶 전체에 대한 도전 바로 그것이다. 이런 그에게 있어 자신의 딸의 결혼식이 있는 도시로 가기까지의 혼자만의 여행(물론 딸의 홀대로 시작된 여행)은 진정 열린 시간을 다시 자기식으로 재배열할 수 있는 계기인지도 모른다.
'All That Movie > Come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를 지켜라>-한국영화를 지키는 상상력 (0) | 2006.09.27 |
---|---|
<첫사랑 사수 결기대회>-촬영불가 사수대회! (0) | 2006.07.31 |
<위험한 사돈 The In-Lows>-사돈이라는 이름의 특이한 커플 (0) | 2006.07.31 |
<색즉시공>-눈물을 숨길 수 없는 차력의 세계 (0) | 2006.07.14 |
<스웹트 어웨이 Swept Away>-귀부인과 어부의 어거지 사랑 (0) | 2006.07.14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