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감 독 : 모리오카 토시유키(森岡利行)
각 본 : 모리오카 토시유키(森岡利行)
음 악 : 오쿠노 아츠시(奥野敦士)
출 연: 쿠로카와 메이(黒川芽以)
사와지리 에리카(沢尻エリカ)
미나미(美波)
모리 에리카(森絵梨佳)
코마츠 메구미(小松愛)
하마다 아키라(浜田晃)
노나미 마호(野波麻帆)
오오츠카 네네([大塚寧々)
카츠무라 마사노부(勝村政信)
키무라 아야(木村文)
야스마 리에(安間里恵)
오누키 하나코(小貫華子)
이지매(집단 따돌림)은 일본의 드라마 곳곳, 문화 전반에 담겨 있는 상처의 중심에 놓여 있는 것 같다. 이지메는 나이를 떠나 공동생활을 하는 인간의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회 현상이라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데, 이지매를 당하거나, 행하는 사람 모두..이유가 있기 마련이고, 이런 경우는 쉽게 안 맞는 인간이란 함께 할 필요는 물론이고 때론 이유도 없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영화 <문제없는 우리들>은 문제란 있어도 해결한 능력이 있고, 영화속의 아이들만큼이나 문제가 많은 어른들에 대한 항의성 있는 제목이 영화를 보고 나면 저절로 이해가 된다. 영화의 주인공 미오는 학급동료 마리아를 집단 따돌림하는 주체다. 아무런 이유없이 마리아를 괴롭혀 온 미오는 새로 전학온 마키에 의해 이지메의 무게중김이 자신을 중심으로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가 된 것을 확인한다. 자신이 따돌림 해온 마리아만이 미오의 친구가 되어주고, 그 사이 미오는 이지매의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의 공통적인 고통을 맛 보게 된다. 조금은 이해하기 힘든 이 이지메의 세계 안에서 진정한 우정의 의미를 알게 된다.
기존의 청춘영화에 비해서 상당히 주인공의 심리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사회 문제를 만들고 당하고 해결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긍정적이면서도 사실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표헌하고 있다는 데서 기존의 청춘영화와는 다른 면모들을 보여준다. 빤산 사랑 이야기도 아니고. 스스로의 무제를 보여주고 고민하는 모습..그리고 함께 해결하고 커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데 있어 고무적인 작품.. 비교적 상품적인 요소가 없음에도 불구히고 집중해서 볼만한 소재를 깔끔하게 잘 표현했다. 우리나라에도 적지 않은 이지매인구(당하는 혹은 해하는)들이 이런 영화들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다. 딸을 키우는 입장에서 어느 쪽이든 상당히 고민스러운 문제가 아닐 수 업으며, 이 영화에서 처럼 가급적이면 스스로 해결했음, 스스로 해결하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사회 문제에 대한 영화적인 고민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는 소품이다.
'All That Japan > Japan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문차일드 Moon Child>-가오와 똥폼의 세계즈 (2) | 2007.03.24 |
---|---|
[영화]<태양의 노래 タイヨウのうた>-태양만 비추지 않는다면.... (0) | 2007.03.01 |
[영화]<어서오세요 환자님 いらっしゃいませ、患者さま。]-환자와 환자님의 차이 (1) | 2007.01.30 |
[영화]<같은 달을 보고 있다 同じ月をみてる>-같은 달을 각자 다르게 바라본다. (0) | 2006.12.03 |
[영화]<하루 ハル>-당신의 메일을 기다렸습니다, 일본 멜로드라마의 또 다른 감성 (0) | 2006.11.21 |
RECENT COMMENT